스프링 2.5 기반(JUnit 4.4 사용) 테스트 코드
Spring/Chapter 8 : 2007. 11. 22. 15:41
위의 코드에 보시면, Context 파일을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. 스프링 2.5에서 도입한 COC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는데요. 만약 테스트 코드를 담고 있는 클래스가 whiteship.MemberTest 면 whiteship/MemberTest-context.xml 이라는 파일을 기본 설정 파일로 읽어오려고 합니다. 물론 명시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.
그리고 세터도 없이 @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Member 객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.
위 소스코드를 작성할 때 주의 할 것은.. JUnit 4 라이브러리를 이클립스의 자동완성(컨트롤 + 스페이스)으로 추가하면 안됩니다. 스프링 소스 코드를 받을 때 같이 받은 lib/junit에 있는 jar 파일을 빌드패스에 추가해주어야 합니다.(둘 다 같은 4.4같은데 RunWith 애노테이션의 인자가 다른 것 같습니다.)
따라서 위의 코드를 돌리는데 필요한 Jar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dist 폴더의 spring.jar (스프링 컨테이너 필요함.)
- dist/modules 폴더의 spring-test.jar (SpringJUnit4ClassRunner.class 필요함.)
- lib/jakarta-commons 폴더의 commons-logging.jar (spring.jar 가 종속함.)
- lib/junit 폴더의 junit-4.4.jar (@RunWith, @Test, assertNotNull 필요함.)
'Spring > Chapter 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합 테스트에서 @Transactional이 먹지 않는 경우 (4) | 2008.02.20 |
---|---|
Spring 애노테이션 기반 통합 테스트 작성하기 (2) | 2008.01.02 |
스프링 2.5 기반(JUnit 4.4 사용) 테스트 코드 (2) | 2007.11.22 |
Spring의 Test API에서 setUp과 tearDown (0) | 2007.05.09 |
8.3. Integration testing (0) | 2007.04.09 |
Testing (2) | 2007.04.09 |
감사합니다
넵